본문 바로가기
블로그/티스토리

빙(bing), 줌(ZUM) 검색엔진에 블로그 등록하고 노출 높이기

by 퓌리 2023. 1. 6.

빙(bing), 줌(ZUM) 검색엔진에 블로그 등록하고 노출 높이기

 

지난 글에서는 정성스럽게 작성한 나의 블로그 글이 검색을 통해 노출될 수 있도록 구글 서치콘솔,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등록하는 작업을 마쳤습니다. 다음(Daum) 검색 등록은 이 블로그가 티스토리 블로그이기 때문에 별도의 검색등록을 하지 않아도 노출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한국인들이 사용하는 검색포털이 과연 구글과 네이버밖에 없을까요? 

 

들어가기에 앞서, 이 글은 구글 서치콘솔(Google Search Console)에 이미 블로그를 등록하였다는 가정하에 진행됩니다. Google 계정이 없거나 아직 블로그를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하지 않으셨다면, 등록을 먼저 하신 후 읽어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아래는 구글 서치콘솔에 블로그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작성한 지난 글이니 필요하신 분은 참고해 주세요.

 

2023.01.05 - [블로그] - 구글 서치콘솔에 티스토리 2차 도메인 블로그 등록하기

 

구글 서치콘솔에 티스토리 2차 도메인 블로그 등록하기

구글 서치콘솔에 티스토리 2차 도메인 블로그 등록하기 새롭게 만든 블로그에 도메인도 입히고, 스킨도 꼼꼼하게 정리하고, 이제 글도 조금씩 쌓이고 있으니 슬슬 구글이나 네이버 등 검색엔진

semjok.com

 

2022년 4분기 검색엔진 점유율

궁금해졌습니다. 과연 우리나라 사람들은 어떤 검색엔진으로 정보를 찾고 있을까? 인터넷트렌드라는 곳에서 지난 2022년 4분기 국내 인터넷 사용자들의 검색엔진 점유율이 어떻게 되는지 확인해 봤습니다.

 

출처: 인터넷트렌드(http://www.internettrend.co.kr)


변함없는 부동의 1위 네이버, 점점 점유율을 높이며 치고 올라오는 구글 그리고 그 아래에는 다음, MSbing, ZUM 등이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것은 검색량이 많지는 않지만 bing과 ZUM이 기타, 나머지 항목으로 취급되지 않고 리스트에 이름이 노출될 만큼의 점유율은 가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오늘은 이 두 검색엔진에도 블로그를 등록시키도록 하겠습니다.

 

빙(Bing) 검색 등록

먼저, 마이크로소프트의 빙(Bing) 웹마스터 도구로 이동하여, 검색 등록을 진행해 봅니다. 아래 이미지에는 빙 웹마스터 도구로 이동이 가능한 링크가 연결되어 있으니, 필요하신 분은 클릭하여 진행해 주세요.

 

 

로그인이 되어있지 않은 상태에서 시작하기 버튼을 누르면, Microsoft, Google, Facebook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는 로그인 창이 뜹니다. 여기서 우리가 골라야 하는 것은 바로 Google입니다.

 

로그인 창에서 구글 서치콘솔 등록 시 사용했던 구글계정으로 로그인해 주시고, 사이트 추가 방법 중 왼쪽의 Google Search Console을 이용해 가져오기를 클릭해 주세요.

 

 

 

 

가져오기를 클릭하면, Google Search Console에 등록되어있는 사이트를 Bing이 접근할 수 있도록 접근 권한을 허용해주어야 합니다. 권한을 허용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아래 '계속' 버튼을 누르고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한 다음 Bing.com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해주시면 됩니다. 😉

 

 

계속 - 로그인 - 허용 과정

 

허용을 누르면 잠시 로딩화면이 뜨면서 아래 이미지와 같이 Google Search Console에 등록되어있는 사이트 목록을 나열해 줍니다. 여담으로 저의 경우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된 사이트가 몇 개 더 있는데 이미 Bing에 등록되어서 그런지 저 목록에는 노출되지 않았습니다. 등록이 필요한 사이트만 걸러서 보여주는 듯합니다.

 

가져오기를 원하는 사이트를 선택하고 하단의 가져오기 버튼을 눌러 완료해 주세요.

 

 

구글 서치콘솔에서 불러온 사이트 목록

 

사이트 추가가 완료되었습니다.

가져오기 성공! Bing 등록 완료

 

이게 끝이 아닙니다. 구글, 네이버와 마찬가지로 여기에도 사이트맵과 RSS를 연결해주어야만 비로소 완료인 것입니다.  Bing 웹 마스터 도구의 왼쪽 메뉴에서 방금 추가한 사이트를 선택한 다음, 하위 메뉴인 사이트맵을 선택해 주세요.

 

사이트맵 제출 버튼을 눌러 아래와 같이 2개의 URL을 제출합니다.

 

사이트맵 : https://자신의블로그URL/sitemap.xml

RSS: https://자신의블로그URL/rss

 

 

 

등록 후 사이트맵 세부 정보를 보시면, 등록한 URL과 현재 상태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등록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아직 처리 중이라고 뜨는데 시간이 지나면 검색봇이 제 블로그를 탐색(크롤링)하고 상태가 성공으로 변경되어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Bing 검색 등록은 완료되었습니다.

 

 

줌(ZUM) 검색 등록

줌(ZUM) 검색등록은 서치 콘솔이나 웹마스터 도구 등 별도의 툴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단지 ZUM 고객센터에서 등록 신청폼을 작성하고 신청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줌 사이트 검색등록이 가능한 ZUM 고객센터로 연결됩니다. 

ZUM 고객센터 - 검색등록(https://help.zum.com/submit)

 

신규등록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사이트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기입할 수 있는 입력폼이 나옵니다.

 

여기서 필수로 입력해야 하는 부분은 이메일, 사이트 주소, 사이트명, 사이트소개가 있으며 필수는 아니지만 등록 사유도 간단히 작성하셔도 좋습니다. 정보를 모두 입력하셨다면, 아래 개인정보 수집 이용에 동의하신 후 신청하기 버튼을 눌러 완료해 주세요.

 

등록한 이메일이 Gmail일 경우, 사이트 등록에 대한 결과가 스팸메일함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참고해 주세요. 

 

 

 

이로써 Bing, ZUM 검색 등록이 모두 완료되었습니다.

 

점유율이 높지 않은 이러한 검색엔진을 등록한다고 해서 블로그 유입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치겠냐며 등록을 안 하시는 분들도 간혹 계시는데, Bing과 ZUM을 통해 유입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다는 것을 아셔야 합니다. 블로그가 네이버나 다음에서 노출이 안되거나 혹은 저품질로 인하여 네이버나 다음의 유입이 뚝 끊겼을 때, 한줄기 빛처럼 끊임없이 유입이 일어나는 검색엔진이니까요. 🥺

 

블로그에 방문해주신 분들에게 모두 감사드리며, 제 글이 부디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오늘도 건강하고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

댓글